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LG전자가 발표한 2024년 실적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매출은 역대 최고를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감소했다고 하는데요. 함께 자세히 살펴보시죠.
2. LG전자 2024년 실적 개요
2.1. 매출 현황
LG전자는 2024년 한 해 동안 총 매출액 87조 7,282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6.6% 증가한 수치로,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한 것입니다.
2.2. 영업이익 현황
반면, 영업이익은 3조 4,197억 원으로 전년 대비 6.4% 감소했습니다. 특히 4분기 영업이익은 1,35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7% 감소하여 수익성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3. 사업 부문별 실적 분석
3.1. H&A 사업본부 (생활가전)
- 매출액: 33조 2,033억 원
- 영업이익: 2조 446억 원
물류비 상승에도 불구하고 북미 시장 중심의 신모델 판매 호조와 신흥국에서의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로 견조한 실적을 냈습니다.
3.2. HE 사업본부 (TV)
- 매출액: 15조 2,291억 원
- 영업이익: 3,159억 원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등의 영향으로 유럽·아시아 지역에서 올레드(OLED) TV 판매가 늘었고, 웹OS 기반의 광고·콘텐츠 사업도 확대되었습니다.
3.3. VS 사업본부 (전장)
- 매출액: 10조 6,205억 원
- 영업이익: 1,157억 원
2년 연속 매출 10조 원을 넘겼으나, 수주 프로젝트 대응 개발 비용과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전환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감소했습니다.
3.4. BS 사업본부 (비즈니스 솔루션)
- 매출액: 5조 6,871억 원
- 영업손실: 1,931억 원
매출은 증가했으나, 영업손실을 기록하여 수익성 개선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4. 주요 사업 부문의 성장 요인
4.1. 가전 구독 서비스의 성장
가전 구독 매출은 전년 대비 75% 늘어 2조 원에 육박했으며, 국내 가전 구독 매출이 1조 6,000억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체 가전 매출액의 27%를 차지하는 비중입니다.
4.2. 웹OS 플랫폼의 확장
웹OS 기반의 광고·콘텐츠 사업 매출액은 1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LG전자 제품 외에도 타 브랜드의 스마트 TV에 웹OS를 탑재하여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5. 수익성 악화 요인 분석
5.1. 물류비 상승
글로벌 해상 운임 급등으로 인해 물류비 부담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영업이익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습니다.
5.2. 마케팅 비용 증가
일회성 마케팅 비용의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이 감소하였으며, 이는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다음 뉴스)
6. 향후 전략 및 전망
6.1. 사업본부 개편
LG전자는 지난해 △생활가전 솔루션(HS)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솔루션(MS) △차량 솔루션(VS) △에코 솔루션(ES)으로 사업본부를 개편하였습니다.
6.2. 구독 서비스의 글로벌 확대
구독 사업을 태국, 인도 등으로 확대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6.3. 웹OS 플랫폼의 발전
콘텐츠 투자와 파트너십 확장을 통해 웹OS를 실·내외 통합 콘텐츠·서비스 플랫폼으로 육성할 예정입니다.
7. 결론
LG전자는 2024년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하며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그러나 물류비 상승과 마케팅 비용 증가로 인해 수익성은 악화되었습니다. 앞으로의 전략적 대응을 통해 이러한 도전 과제를 극복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다.